기사 메일전송
“공무원·교원도 사람입니다”… 생존권 보장 요구 집회 개최
  • 김학산 기자
  • 등록 2025-07-16 10:30:50
  • 수정 2025-07-16 11:34:49

기사수정
  • -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려
  • - “공직사회 이탈 가속… 정부는 더 이상 ‘탓’만 하지 말라”

“공무원·교원도 사람입니다”… 생존권 보장 요구 집회 개최공무원·교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있는 공노총과 공투위 소속 간부들. 참가자들은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며 공직사회 처우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2025년 7월 14일,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석현정, 공노총)은 7월 14일 월요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를 개최하고, 공무원·교원의 생존권 보장과 임금 현실화를 촉구했다.


이번 결의대회는 공노총과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 소속 단체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120만 공무원 노동자의 생존권 문제를 국민과 정부에 호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6월 30일 열린 1차 결의대회에 이어 이날은 공무원보수위원회 2차 전체회의에 맞춰 진행됐다.


공노총은 지난달 19일 전국 동시 기자회견을 통해 2025년 예산안 반영 요구사항을 정부에 전달한 바 있다. 주요 요구사항은 공무원 임금 6.6% 인상, 정액급식비 월 3만 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천 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 조정, 정근수당과 명절휴가비 각 10% 인상 등이다.


이날 결의대회에서는 정순재 청도군공무원노조 위원장을 비롯한 현장 발언과 함께 참가자들의 구호가 이어졌으며, 참가자들은 공무원 생존권 보장, 임금 6.6% 인상 등의 손팻말을 들고 정부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정순재 위원장은 “임금은 곧 생존권이며, 공무원도 국민과 마찬가지로 물가를 견디며 살아가는 사람”이라며, “정부는 더 이상 공무원의 생존을 외면하지 말고, 국민의 행복한 내일을 고민하는 공직사회로 이끌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석현정 위원장은 “지금 공직사회에서는 ‘공노비’라는 자조와 함께 빠르게 떠나는 사람이 ‘위너’로 불리는 비극적인 풍경이 펼쳐지고 있다”며, “정부는 예산 탓, 국민 정서 탓만 반복하지 말고 공무원 노동자의 현실을 직시하라”고 비판했다.


공노총은 향후 대통령실과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소규모 릴레이 집회를 이어가고, 8월에는 다수 조합원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예고하고 있다. 국무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이 확정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