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7일 농업대전환 확산 분위기 조성과 시군의 자발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공동영농 확산 시군 관계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17일 열린 제1회 경상북도 지방정부 협력 회의에서 농업대전환 조기 정착 및 가속화 계획이 첫 안건으로 논의된 이후, 시군 업무 관계자들과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공동영농 시군 확산 평가계획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올해 업무보고에서 ‘경북형 공동영농모델을 2026년부터 정부 시책으로 지원할 계획’을 밝힌 만큼, 공동영농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시군 간 건전한 경쟁을 통해 조기 확산을 유도할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특히, 최근 정부가 쌀 생산과잉과 쌀값 문제 해결을 위한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함에 따라, 쌀 생산 감축에 대한 농가 부담을 줄이고 소득을 높이는 방안으로 이모작 공동영농을 통한 소득 배당 방식의 ‘경북형 공동영농모델’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평가계획에도 벼 재배면적 감축 목표 달성률을 포함할 방침이다.
또한, 경북도는 공동영농 조기 확산과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 방식과 지원 조건을 개편했다.
주요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군 사업계획 수립 후 수시 신청 가능(별도 공모 기간 없음)
▴논 다른 작물 전환 시 최소 지원 면적을 20ha로 완화(기존 50ha 이상)
▴지원 품목에 조사료 및 경관 작물 포함(기존 소득작물 중심)
경북도는 22개 시군과 함께 대상지 발굴 및 수요 파악을 통해 필요한 예산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회의에서 논의된 의견을 평가계획에 반영하고,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우수 시군에는 상사업비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김주령 경상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처음 공동영농을 시작할 때는 의구심이 많았지만, 이제는 정부도 인정하는 모델로 자리 잡아 전국에서 벤치마킹하기 위해 찾고 있다”며 “공동영농이 경북 전역으로 확산해 대한민국 농업의 대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22개 시군과 함께 고민하고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