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를 휩쓴 초대형 산불로 대규모 산림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불에 탄 나무들이 폐기되지 않고 건축용 자재로 활용될 길이 열렸다. 경상북도는 산림청, 영양군, 경기 광주시, 충북 충주시·제천시, 국산목재협동조합, 목재문화진흥회와 함께 산불 피해목을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되살리기 위한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실무 협의에 돌입했다.
산불로 쓰러지거나 고사한 나무는 겉은 그을렸지만 내부는 튼튼한 상태로 유지돼 구조재나 내외장재 등 건축용 목재로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활용 수요처가 부족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이번
협력체는 공공 목조건축물에 우선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기획했다.
경북지역 산불 피해목 중 건축용으로 적합한 소나무는 산림청·경북도·영양군이 협업해 수집하며, 국산목재협동조합이 이를 가공해 품질을 관리하고 건축자재로 생산한다. 생산된 목재는 서울 국립목재문화체험장, 경기 광주시 목재교육종합센터, 충북 충주시 목재문화관, 제천시 월악산 관광안내센터 등 참여 지자체의 공공건축물에 사용될 예정이다.
조현애 경상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산불 피해목을 공공건축물에 활용하면 국산 목재 수요를 늘리는 동시에, 피해 지역의 복구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산불 피해목을 건축재로 활용해 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북 포항시에 조성 중인 ‘경상권 목재자원화센터’가 2026년 준공되면, 향후 더 많은 피해목을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이를 통해 산불 피해목 활용 범위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