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의성에서 시작되어 안동, 청송, 영양, 영덕으로 확산한 초대형 산불은 주민들에게 큰 불안과 상실을 남겼다. 이에 경상북도는 재난 직후 전국 정신건강 관련 기관과 공조하여 정신건강 전문인력 320여 명을 투입, 현재까지 총 1만 5천여 명의 주민에게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다.
특히 심리적 충격이 큰 고위험군 주민에게는 6월부터 12월까지 집중적인 심층상담을 제공 중이다. 본 상담은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회 재난심리지원단과 정신건강간호사회 대구·경북지회 소속 전문가들이 대면 및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농번기가 끝난 7~8월 농한기를 활용해 마을회관 등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회복 활동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건강상태 평가, 감정표현, 이완요법, 신체활동 등을 통해 불안 해소 및 공동체 정서 회복을 돕고 있다.
한편, 현장 대응에 참여한 정신건강 인력의 심리적 소진 예방도 도외치 않았다. 지난 7월, 영주 국립산림치유원에서 2회기에 걸쳐 열린 워크숍에서는 산림치유, 명상, 감정 나누기 프로그램을 통해 그동안 지쳐있던 대응 인력들의 심리 회복을 지원했다.
경북도는 향후 호우·폭염 등 추가 재난 가능성을 고려해 24시간 긴급 심리상담 체계 1577-0199를 상시 운영 중이며, 지역 곳곳을 찾아가는 심리지원 이동팀도 지속 투입할 예정이다.
김호섭 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산불 피해 주민의 마음 회복은 물리적 복구만큼이나 중요하다”며 “심리적 트라우마를 끝까지 돌보고, 도민의 안정된 일상 회복을 위해 경북도가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밝혔다.